티스토리 뷰

목차



    반응형

    주행 중 에어백 경고등(SRS)이 켜졌다면 사고 발생 시 에어백이 작동하지 않을 수 있습니다. 안전벨트 센서, 시트 하단 커넥터, 모듈 이상 등 다양한 원인별 대응법과 정비소에서의 진단 절차, 예방 관리 팁까지 상세하게 안내한 운전자 필수 안전 정보입니다.


    🛑 주행 중 에어백 경고등이 켜졌을 때 이렇게 대처하세요!


    ✅ 1. 에어백 경고등이 뜻하는 것

    에어백 경고등은 보통 계기판에 사람 모양에 동그라미(에어백)를 안고 있는 아이콘으로 표시됩니다.
    정상 작동 시 시동 직후 켜졌다가 5초 내에 꺼져야 하며, 계속 켜져 있거나 주행 중 켜졌다면 문제 발생을 의미합니다.

    💡 경고등이 켜진 상태에서는 사고가 나더라도 에어백이 작동하지 않을 수 있습니다.


    🔍 2. 에어백 경고등 점등 원인

    원인 구분 상세 내용

    안전벨트 센서 이상 벨트 버클의 센서가 접촉 불량이거나 고장
    시트감지 센서(SRS) 이상 조수석 무게 감지 센서 오류
    충격 센서/에어백 모듈 고장 사고 이력 또는 센서 부품 노후화
    배터리 전압 불안정 전기계통의 불안정으로 신호 전달 실패
    커넥터 접촉 불량 시트 하단 또는 계기판 뒤 배선 단선, 접점 불량
    이전 사고로 인한 미복구 과거 에어백 작동 후 재설정 안 된 경우

    🧭 3. 주행 중 경고등이 들어왔을 때 대처 요령

    📌 우선 정차할 필요는 없음

    • 에어백 경고등이 켜졌다고 해서 즉시 주행이 위험한 것은 아닙니다.
    • 단, 사고 발생 시 에어백이 터지지 않을 수 있으므로 안전에 큰 결함이 발생한 상태입니다.

    ✅ 이렇게 하세요:

    1. 계기판의 경고등 상태 확인
      • ‘Airbag’ 혹은 ‘SRS’ 아이콘이 켜져 있는지 확인
    2. 안전벨트 버클 확인 및 재장착
      • 접촉 불량일 수 있으므로 다시 뺐다가 꽂아봅니다
    3. 조수석 좌석 하단 커넥터 점검
      • 간혹 조수석 아래의 SRS 커넥터가 느슨해져 경고등이 들어오는 경우 있음
    4. 시동 껐다가 재시동 시도
      • 일시적인 오류일 경우, 껐다가 다시 켜면 경고등이 꺼질 수 있음
    5. 경고등 지속 시 정비소 진단 요청
      • 에어백은 자가 수리가 거의 불가능하므로, 반드시 전문 진단 필요


    🛠️ 4. 정비소에서는 어떤 점검을 하나요?

    ✔️ OBD-II 진단기로 SRS 관련 고장코드(DTC) 조회

    • 고장 코드 예:
      • B1000: 에어백 모듈 통신 오류
      • B1101: 운전석 벨트 프리텐셔너 회로 이상
      • B1402: 조수석 측면 에어백 이상

    ✔️ 점검 후 조치 예시

    진단 결과 조치 방법

    센서 접촉 불량 커넥터 재결합 또는 배선 보강
    모듈 고장 모듈 교체 및 시스템 초기화
    사고 이력 있음 에어백 교체 및 초기화 필요
    배터리 전압 불량 배터리 및 전기계통 점검/교체

    🧪 5. 예방과 관리 팁

    ✅ 이렇게 관리하세요:

    • 정기적인 점검
      → 정기 점검 시 에어백 시스템도 포함되도록 요청하세요.
    • 차량 시동 후 경고등 정상 작동 여부 확인
      → 시동 직후 켜졌다 꺼지는지 매번 확인
    • 차량 내부 개조 또는 시트 탈거 금지
      → 시트 하단 센서나 커넥터 손상 가능성 있음
    • 사고 후 반드시 SRS 리셋 확인
      → 보험처리 시 ‘에어백 재설정 여부’ 꼭 확인

    📞 6. 보험사 긴급출동 대상일까?

    에어백 경고등 자체는 차량 고장으로 인한 긴급출동 사유에 해당하지는 않지만,
    사고 후 에어백 미작동이 의심되거나 경고등이 깜빡이며 계기판 전체 이상이 있을 경우,
    배터리 이상 진단 및 간단한 진단 지원은 받을 수 있습니다.


    ✅ 요약 정리: 에어백 경고등 대응 순서

    단계 내용

    1단계 경고등 점등 시 침착하게 계속 주행 가능
    2단계 안전벨트 및 시트 하단 커넥터 점검
    3단계 재시동 시도 후 경고등 재확인
    4단계 정비소에서 OBD 진단 및 점검
    5단계 사고 이력 차량은 초기화 여부 확인 필수

    반응형